오늘은 이전 포스트에서 소개해 드린 WSGI 유틸리티인 Werkzeug와 이를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인 FlaskHTTP 요청을 어떻게 추상화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 첨부된 코드는 Github 저장소(Flask 0.8, Werkzeug 0.8.3)에서 인용하겠습니다. 혹시 좀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직접 코드를 내려받아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Down the Rabbit-Hole


우선 HTTP로 요청받은 쿼리스트링(querystring)을 그대로 출력하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부터 시작해봅시다.

@app.route()와 같은 코드는 이제 익숙하실 겁니다. 등록된 핸들러가 문자열을 반환하면 이를 응답으로 돌려주는 것 역시 이해하기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request는 과연 어떨까요? import문을 통해 부르는 것으로 보아 외부 모듈에 정의된 변수 같기는 한데, 매번 쿼리를 바꿀 때마다 그에 맞춰서 자동으로 그 값이 바뀝니다. 특별히 apphandler로부터 값을 전달받거나 하는 것 같지도 않습니다.

한번 type()을 통해 확인해볼까요?

불행하게도 브라우저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번엔 pdb를 통해 디버그해 봅시다. (단 Flaskdebug 옵션은 False로 놓아야 합니다.)

dir()을 통해 대강 무엇을 하는 객체인지 짐작을 할 순 있지만, type()으로 확인한 타입은 Request가 아닌 werkzeug.local.LocalProxy라는 알쏭달쏭한 타입입니다. 과연 이 request의 진짜 정체는 뭘까요?

Back to basics


잠깐 여기서 처음으로 돌아가 보죠. WSGI 애플리케이션은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함수(혹은 부를 수 있는 객체)로 environstart_response를 컨테이너로부터 받아 요청을 처리합니다. FlaskFlask.wsgi_app()을 통해 이 부분을 처리합니다.

여기서 실제로 environ에 담긴 HTTP 요청에 대한 상세를 Request 형태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request_context()입니다. request_context()는 현재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environ을 토대로 문자 그대로 요청(Request)에 대한 문맥(Context)을 만들어서 이를 핸들러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합니다.

여기서 만들어 내는 RequestContext에 대해서 조금만 더 자세히 봅시다.

RequestContext는 넘겨받는 apprequest_class(기본은 뒤에 살펴볼 werkzeug.wrappers.Request입니다.)를 통해 문맥 안에서 사용할 request를 초기화합니다. 또한 with 구문을 통해 실행되는 __enter__()를 통해 자기 자신을 _request_ctx_stack에 넣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_request_ctx_stack입니다. 이 스택은 .global에 정의되어있습니다.

_request_ctxWerkzeugLocalStack의 인스턴스입니다. 또 우리가 여태까지 찾아 헤매던 request 역시 여기에 정의되어있는데, 이는 _request_ctx 중 가장 위의 .request를 가져오게 되어있는 LocalProxy임을 알 수 있습니다.

Globalocal


그렇다면 과연 LocalStackLocalProxy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 것일까요? 백문이 불여일견이란 말도 있듯이 코드를 봅시다. 이 두 클래스는 werkzeug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코드가 약간 복잡하지만, 기본적으로는 get_ident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져옵니다. get_ident는 현재 문맥(스레드(Thread)코루틴(Coroutine))을 나타내는 식별자로, 2개의 클래스는 모두 개개의 문맥에서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으로 저장될 수 있습니다.(Javajava.lang.ThreadLocalClojurebinding을 떠올리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스레드별로 다른 요청을 처리하는 경우 각각의 요청 문맥이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이죠.

이제 정리해봅시다. environ을 통해 넘어온 요청 내용은 request_context()에 의해 Request 객체로 만들어지고 이 객체는 현재 문맥에서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_request_ctx_stack에 저장됩니다. 우리는 핸들러에서 이를 Flask.request로 접근하여 사용합니다.

How it works?


이제 request 객체가 어디서 만들어지는지를 살펴보았으니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초점을 맞춰보죠. request 객체는 아까 잠깐 언급한 request_class, 즉 별다른 설정이 없다면 werkzeug.wrappers.Request를 구현합니다.

werk.zeug.wrappers.Requestwerkzeug.wrappers.BaseRequestHTTP 요청에 대한 명세를 독립적으로 구현하는 몇 개의 다른 믹스인(MixIn)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기본적인 구현 전략은 environ을 객체의 멤버 변수로 가지고 있다가 조회하는 메소드나 프로퍼티가(ex. .values, forms)가 처음으로 불릴 때 명세에 맞게 이를 불러옵니다. (._load_from_data)

Prologue


지금까지 살펴본 과정은 사실 FlaskHTTP 요청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시작점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Request가 처리되고 적절한 HTTP 응답으로 변환되는 과정에도 살펴볼 점이 많은데, 이는 기회가 되면 다음 시간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포카에서는 “식자재 시장을 디지털화한다” 라는 슬로건 아래, 매장과 식자재 유통사에 도움되는 여러 솔루션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제품으로 세상을 바꾸는 성장의 과정에 동참 하실 분들은 채용 정보 페이지를 확인해주세요!